맨위로가기

S-75 드비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75 드비나는 소련에서 개발된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고고도에서 비행하는 적기를 격추하는 것을 목표로 1950년대에 개발되었다. 1957년 실전 배치되었으며, 미국 폭격기 세력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S-75는 U-2기 사건과 베트남 전쟁 등 여러 분쟁에서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1990년대까지 35개국에서 운용되었다. 현재는 북한 등 일부 국가에서 개량형을 운용하고 있으며, 북한은 S-75를 개량한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인 번개 5호를 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의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
    AIM-9 사이드와인더는 미국에서 개발된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냉전 시대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라보츠킨 - 엑소마스
    엑소마스는 유럽 우주국과 러시아 연방 우주국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화성 탐사 계획으로, 궤도선과 로버를 통해 화성의 생명체 흔적을 탐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16년 1차 발사에서 궤도선은 성공했지만 착륙선은 실패했고, 2022년 2차 발사는 연기되어 2028년 이후 발사를 목표로 재조정되었다.
  • 라보츠킨 - 루노호트 2호
    루노호트 2호는 1973년 루나 21호에 의해 달에 보내진 소비에트 연방의 두 번째 무인 달 탐사 로버로, 르 모니에 분화구에서 약 4개월간 활동하며 37km(후에 42km로 수정됨)를 이동하고 다양한 과학적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으며, 현재도 월면 레이저 거리 측정 실험을 통해 탐지되고 있다.
  • 방공 장비 - 요격기
    요격기는 적 항공기 요격에 특화된 군용 항공기로, 제1차 세계대전부터 냉전 시대까지 발전을 거듭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탄도미사일 등장과 다목적 전투기 발전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감소하고 있다.
  • 방공 장비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방공 및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다기능 레이더를 중심으로 지휘결정 시스템, 무기관제 시스템, 미사일 및 발사대를 통합 운용하며, 여러 국가 해군에서 운용 중이나 오인 사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S-75 드비나
S-75 드비나/V-750 미사일 정보
소피아, 불가리아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에 있는 S-75 드비나
명칭S-75 데스나 / V-750
다른 이름SA-2 가이드라인, SA-N-2 가이드라인
종류전략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미사일 여부
사용 국가현재 및 이전 운용 국가 목록 참조
참전 전쟁베트남 전쟁
6일 전쟁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욤 키푸르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테러와의 전쟁
압하지야 전쟁 (1992년-1993년)
제1차 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예멘 내전 (2015년-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예멘 개입
사우디-예멘 국경 분쟁 (2015년-현재)
티그라이 전쟁
설계자라스플레틴 KB-1 (총괄 개발자)
그루신 MKB 파켈 (미사일 개발자)
라보츠킨 OKB
설계 시기1953년–1957년
생산 시기1957년
생산 수량약 4,600기 발사대 생산
파생형SA-75 드비나, S-75 데스나, S-75M 볼호프/볼가
제원 명칭V-750
중량2300 kg
길이10600 mm
직경700 mm
탄두파편형 고폭탄
탄두 중량195 kg
폭발 방식명령
추진제고체 연료 부스터와 저장 가능한 액체 연료 상단 로켓
사거리45 km
고도25,000 m
부스트5초 부스트, 20초 지속
속도마하 3.5 (10,000피트 고도에서)
유도 방식무선 조종 지령 유도
정확도65 m
발사대단일 레일, 지상 거치형 (이동 불가)
기타 정보

2. 역사

S-75의 개발은 S.A. 라보치킨 기념 과학생산연합(라보치킨 설계국)이 담당하여 1953년에 시작되었다. 고고도를 비행하는 저기동성의 대형 기체를 격추하는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으며, 고기동성 보다는 빠르고 항공기의 대응책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했다. 소련은 이미 S-25 베르쿠트(NATO 코드네임: SA-1 길드)를 개발했지만, S-75는 S-25의 최대 사거리 1만 1,000m를 넘어, 보다 고도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전국 배치를 목표로 했다.

덕스포드 제국 전쟁박물관에 전시된 S-75의 고체추진 부스터 노즐


1950년대 초, 미국 공군은 핵무기 탑재 장거리 제트 폭격기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공중급유로 B-47 스트라토제트 폭격기의 작전반경을 늘려 소련 영공 깊숙이 침투하도록 배치했고, B-52의 개발을 빠르게 개시했다. 이러한 미국 폭격기 세력은 소련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이에 소련은 신형 방공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다. 소련 방공군은 다수의 대공포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고고도 제트 폭격기에 대한 한계는 명백했다. 소련 방공군은 낡은 대공포 중심의 방공체계를 대체할 미사일 체계 개발을 시작했다.

S-75는 1957년에 부대 배치가 시작되었고, 이에 맞춰 소련 방공군(국토방공군)도 지대공 미사일 부대를 발족시켰다. S-75는 모스크바 근교에 배치된 S-25 베르쿠트 지대공 미사일 포대를 대체하려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지만, 130mm KS-30과 100mm KS-19와 같은 고고도 대공포들을 대체했다.[4] 1957년부터 대규모 배치가 시작되어, 1958년 중반에서 1964년 사이 미 정보당국은 소련 영내에서 600개 이상의 S-75 포대를 파악했다.[4] 이 포대들은 인구 밀집 지역, 산업 단지와 행정 시설에 밀집 배치되었고, 소련 심장부로 향하는 폭격기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었다.[4] 1960년대 중반까지 소련은 1,000개 이상의 작전 포대를 운용했다.[4] S-75의 존재는 같은 해 5월 1일 열린 붉은 광장의 메이데이 기념 퍼레이드에서 처음으로 일반 시민과 서방 관계자들에게 알려졌다.

소련 이외에도 1960년대 동독 주둔 소련군 보호를 위해 동독에 S-75 포대가 전개되었다.[4] 이후 S-75는 대부분의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에 팔렸고,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에 공급되었다.[4]

S-75는 1959년 10월 중국이 대만 RB-57 정찰기를 격추하면서 첫 실전 기록을 세웠다.[3] 1960년 소련 영공에서 프랜시스 개리 파워스의 U-2 정찰기를 격추한 U-2기 사건으로 유명해졌다.[3] 이 사건은 1960년 U-2 위기로 이어졌다. 또한, 중국은 대만 공군 소속 U-2기 5대를 격추했다.[5]

쿠바 미사일 사태 당시인 1962년 10월, 미국 공군의 루돌프 앤더슨 소령이 조종하던 U-2기가 쿠바 영공에서 격추되었다.[6]

1965년 북베트남은 미국의 항공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소련에 S-75 지원을 요청했다. 1965년 7월 23일, 미해군 F-4B 전투기가 격추되었고,[41] 미국은 아이언 핸드 작전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S-75가 하노이-하이퐁 지역에 배치되어 정치적인 이유로 공격에 제한이 있었다.

1985년 이집트의 S-75


베트남 전쟁에서 S-75는 미군 항공기에 큰 피해를 입혔으나, 미국의 전자전 및 대응 전술 개발로 효과가 감소했다. 북베트남은 S-75를 이용, 저고도로 비행하는 미군기를 대공포와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격추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미군기들은 S-75의 공격을 피하기위해 3km 이하로 고도를 낮추기 시작했는데, 이는 드비나(Dvina, S-75의 다른 명칭)의 최소 작전 고도보다 낮은 고도였다. 이로 인해 베트남군의 대공포 사정권에 들어가게 되었다.[13]

1965년부터 1966년 사이에 미국은 S-75 위협에 대한 대응책을 개발했다. 해군은 AGM-45 슈라이크 대레이더 공대지 미사일을 운용했고, 공군은 B-66 폭격기에 강력한 재머(초기 경고 레이더를 교란하는 장비)를 장착했고, 전투기에 더 작은 재밍 포드(적 레이더의 거리 정보를 차단하는 장비)를 개발했다. 소련과 베트남은 이러한 전술 중 일부에 적응할 수 있었다. 소련은 전자전(ECM)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레이더를 여러 차례 업그레이드했다. 또한 수동 유도 모드를 도입하여 추적 레이더가 재밍 신호 자체를 포착하여 미사일을 재밍 원천으로 직접 유도할 수 있도록 했다.

1972년 12월 11일 동안 하노이와 하이퐁에 대한 B-52의 대규모 공습이 있었을 때, 266발의 S-75 미사일이 발사되었고, 그 결과 15대의 폭격기가 손실되었고 많은 폭격기가 피해를 입었다.

S-75는 중동 전쟁에서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 공군을 방어하기 위한 방공망의 일부로 사용했다. 1993년 3월 19일 1992년 압하지아 전쟁 당시 그루지아의 미사일이 러시아의 Su-27 전투기를 격추한 것이 마지막 실전 기록으로 추정된다.[42]

표준적인 S-75는 지상 목표물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었고, 운용자에게 어떻게 미사일을 조준하는지 교육하였다.

1980년대 북한은 S-75 270여 대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S-300(번개 5호)을 열병식에 공개하고 있다. 북한은 2016년 4월 번개 5호로 불리는 장거리 지대공 무기를 처음 공개했는데, 이는 사거리 150 km로 S-75(45km)보다 3배나 길다.

2019년 9월 5일, 조광무역회사 홈페이지에는 번개 5호를 5100만 달러(약 612억1000만원)에 판매하는 정황이 포착되었다. 이는 북한이 해당 미사일을 대량생산하여 해외에 수출할 정도의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열병식에 등장한 번개 5호는 이동식발사차량(TEL)이 개량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S-75 개량 및 신형 지대공 미사일 개발은 대한민국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으로 이어진다.

2. 1. 개발

1950년대 초, 미국 공군은 핵무기 탑재 장거리 제트 폭격기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공중급유로 B-47 스트라토제트 폭격기의 작전반경을 늘려 소련 영공 깊숙이 침투하도록 배치했고, B-52의 개발을 빠르게 개시했다. 이러한 미국 폭격기 세력은 소련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이에 소련은 신형 방공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다. 소련 방공군은 다수의 대공포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고고도 제트 폭격기에 대한 한계는 명백했다. 소련 방공군은 낡은 대공포 중심의 방공체계를 대체할 미사일 체계 개발을 시작했다.

1953년, 라보츠킨 설계국은 피터 그루신의 책임하에 S-75 개발을 시작했다. 고고도를 비행하는 저기동성의 대형 기체를 격추하는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으며, 고기동성 보다는 빠르고 항공기의 대응책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했다. 1957년 모스크바의 노동절 퍼레이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2. 2. 초기 배치

S-75는 모스크바 근교에 배치된 S-25 베르쿠트 지대공 미사일 포대를 대체하려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지만, 130mm KS-30과 100mm KS-19와 같은 고고도 대공포들을 대체했다.[4] 1957년부터 대규모 배치가 시작되어, 1958년 중반에서 1964년 사이 미 정보당국은 소련 영내에서 600개 이상의 S-75 포대를 파악했다.[4] 이 포대들은 인구 밀집 지역, 산업 단지와 행정 시설에 밀집 배치되었고, 소련 심장부로 향하는 폭격기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었다.[4] 1960년대 중반까지 소련은 1,000개 이상의 작전 포대를 운용했다.[4]

소련 이외에도 1960년대 동독 주둔 소련군 보호를 위해 동독에 S-75 포대가 전개되었다.[4] 이후 S-75는 대부분의 바르샤바 조약 국가들에 팔렸고,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에 공급되었다.[4]

2. 3. 실전 기록

S-75는 1959년 10월 중국이 대만 RB-57 정찰기를 격추하면서 첫 실전 기록을 세웠다.[3] 1960년 소련 영공에서 프랜시스 개리 파워스의 U-2 정찰기를 격추한 U-2기 사건으로 유명해졌다.[3] 이 사건은 1960년 U-2 위기로 이어졌다. 또한, 중국은 대만 공군 소속 U-2기 5대를 격추했다.[5]

쿠바 미사일 사태 당시인 1962년 10월, 미국 공군의 루돌프 앤더슨 소령이 조종하던 U-2기가 쿠바 영공에서 격추되었다.[6]

1965년 북베트남은 미국의 항공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소련에 S-75 지원을 요청했다. 1965년 7월 23일, 미해군 F-4B 전투기가 격추되었고,[41] 미국은 아이언 핸드 작전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S-75가 하노이-하이퐁 지역에 배치되어 정치적인 이유로 공격에 제한이 있었다.

베트남 전쟁에서 S-75는 미군 항공기에 큰 피해를 입혔으나, 미국의 전자전 및 대응 전술 개발로 효과가 감소했다. 북베트남은 S-75를 이용, 저고도로 비행하는 미군기를 대공포와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격추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미군기들은 S-75의 공격을 피하기위해 이하로 고도를 낮추기 시작했는데, 이는 드비나(Dvina, S-75의 다른 명칭)의 최소 작전 고도보다 낮은 고도였다. 이로 인해 베트남군의 대공포 사정권에 들어가게 되었다.[13]

1965년부터 1966년 사이에 미국은 S-75 위협에 대한 대응책을 개발했다. 해군은 AGM-45 슈라이크 대레이더 공대지 미사일을 운용했고, 공군은 B-66 폭격기에 강력한 재머(초기 경고 레이더를 교란하는 장비)를 장착했고, 전투기에 더 작은 재밍 포드(적 레이더의 거리 정보를 차단하는 장비)를 개발했다. 소련과 베트남은 이러한 전술 중 일부에 적응할 수 있었다. 소련은 전자전(ECM)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레이더를 여러 차례 업그레이드했다. 또한 수동 유도 모드를 도입하여 추적 레이더가 재밍 신호 자체를 포착하여 미사일을 재밍 원천으로 직접 유도할 수 있도록 했다.

1972년 12월 11일 동안 하노이와 하이퐁에 대한 B-52의 대규모 공습이 있었을 때, 266발의 S-75 미사일이 발사되었고, 그 결과 15대의 폭격기가 손실되었고 많은 폭격기가 피해를 입었다.

S-75는 중동 전쟁에서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 공군을 방어하기 위한 방공망의 일부로 사용했다. 1993년 3월 19일 1992년 압하지아 전쟁 당시 그루지아의 미사일이 러시아의 Su-27 전투기를 격추한 것이 마지막 실전 기록으로 추정된다.[42]

표준적인 S-75는 지상 목표물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었고, 운용자에게 어떻게 미사일을 조준하는지 교육하였다.

2. 4.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1980년대 북한은 S-75 270여 대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S-300(번개 5호)을 열병식에 공개하고 있다. 북한은 2016년 4월 번개 5호로 불리는 장거리 지대공 무기를 처음 공개했는데, 이는 사거리 150 km로 S-75(45km)보다 3배나 길다.

2019년 9월 5일, 조광무역회사 홈페이지에는 번개 5호를 5100만 달러(약 612억1000만원)에 판매하는 정황이 포착되었다. 이는 북한이 해당 미사일을 대량생산하여 해외에 수출할 정도의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열병식에 등장한 번개 5호는 이동식발사차량(TEL)이 개량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S-75 개량 및 신형 지대공 미사일 개발은 대한민국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으로 이어진다.

3. 특성

소련 방공군은 S-75를 운용하는 지대공 미사일 연대를 경계 레이더를 갖춘 연대 본부와 3개 대대(大隊)로 구성했다. 대대는 1기의 추적·화기관제 레이더와, 그것을 중심으로 60~100m 간격으로 배치된 6기의 발사기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S-75의 진지는 상공에서 보면 꽃처럼 보인다.

쿠바의 S-75 배치 지역(1962년). 중앙의 레이더를 중심으로 6기의 발사대가 배치되어 있다.


발사대 후면


연대 본부의 경계 레이더가 목표를 탐지하면, 그 정보는 지대공 미사일 중대의 화기관제 레이더인 Fan Song영어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된다. Fan Song영어은 목표를 포착하면 적기의 데이터를 대대의 사격관제장치에 보낸다. 이때 Fan Song영어은 최대 6개 목표까지 동시 추적하고 그중 1개 목표와 교전이 가능하다.

3. 1. 소련의 운용 교리

소련은 표준적인 구조의 S-75 부대를 운용하였다. 다른 국가는 이 구조를 수정하기도 했다. 일반적인 S-75 부대는 3개의 대대를 가진 연대급 부대로 조직되어 있다. 연대 본부는 조기경보레이다를 운용하고 하위 제대와 협조하여 작전한다. 대대는 몇 개의 표적 획득 레이다와 포대를 가지고 있다.

소련 방공군은 S-75를 운용하는 지대공 미사일 연대를 경계 레이더를 갖춘 연대 본부와 3개 대대로 구성했다. 대대는 1기의 추적·화기관제 레이더와, 그것을 중심으로 60~100m 간격으로 배치된 6기의 발사기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S-75의 진지는 상공에서 보면 꽃처럼 보인다.

베트남의 S-75 포대. 8각형 패턴의 구조는 항공 정찰에 쉽게 노출되었다.


연대 본부의 경계 레이더가 목표를 탐지하면, 그 정보는 지대공 미사일 중대의 화기관제 레이더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된다. 화기관제 레이다는 목표를 포착하면 적기의 데이터를 대대의 사격관제장치에 보낸다. 이때 화기관제 레이다는 최대 6개 목표까지 동시 추적하고 그중 1개 목표와 교전이 가능하다.

3. 2. 포대 구조

각 대대는 6개의 반고정식 단일 레일 발사대를 갖추는데, 이 발사대들은 육각형 "꽃" 형태로 서로 약 60m에서 100m 간격으로 배치되며, 중앙에는 레이더와 유도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독특한 "꽃" 모양 때문에 정찰 사진에서 이 발사대 위치를 쉽게 알아볼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추가로 6발의 미사일이 부지 중앙 근처의 트랙터-트레일러에 보관된다.

3. 3. 미사일

V-750 미사일은 고체연료 부스터와 적연소산을 산화제로 사용하는 등유 연료 기반의 액체연료 추진체로 구성된 2단계 미사일이다.[1] 1단 부스터는 4-5초, 주 엔진은 22초 동안 연소하며 미사일을 마하 3까지 가속시킨다.[1] 1단에는 롤링 제어를 위한 소형 조종판이 달린 4개의 큰 삼각익 날개가, 2단에는 조종판을 가진 작은 삼각날개가 중간에, 더 작은 핀들이 노즈부에 있다.

미사일은 포대 유도 컴퓨터가 3개 채널로 지시하는 무선 전파로 유도된다.[1] 초기 S-75는 전방 날개에 있는 4개의 작은 안테나로, D형 이후 모델은 전방과 중앙 날개 사이의 4개의 더 큰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한다. S-75 포대는 한 번에 하나의 표적과 교전 가능하며, 3기의 미사일을 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접, 접촉, 지령 신관을 장착한 195kg 파편 탄두를 탑재하며, 폭파 위험반경은 고도에 따라 65m에서 250m이다. 미사일 정확도는 약 75m이므로 보통 두 발을 발사한다. SA-2E는 15킬로톤 핵탄두나 통상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거리는 45km, 최대고도는 20,000m이다. 레이다와 유도 체계는 500-1,000m의 교전금지거리를 부과한다.

S-75의 2단계


미군 항공기를 공격하기 위해 발사 준비 중인 북베트남 SAM-2 미사일
미군 항공기를 공격하기 위해 발사 준비 중인 북베트남 S-75 미사일


'''S-75 미사일 및 변종'''
미사일공장 지수설명
V-7501D사정거리 7–29 km; 발사 고도 3,000–23,000 m
V-750V11D사정거리 7–29 km; 발사 고도 3,000–25,000 m; 무게 2,163 kg; 길이 10,726 mm; 탄두 무게 190 kg; 직경 500 mm / 654 mm
V-750VK11D현대화된 미사일
V-750VM11DM항공기용 재머 발사 미사일
V-750VM11DU현대화된 미사일
V-750VM11DА현대화된 미사일
V-750M20ТD구체적인 정보 없음
V-750SM-구체적인 정보 없음
V-750VN13D사정거리 7–29 km / 7–34 km; 발사 고도 3,000–25,000 m / 3,000–27,000 m; 길이 10,841 mm
-13DА새로운 탄두 무게 191 kg의 미사일
V-750АK-구체적인 정보 없음
V-75313DM해군 SAM 시스템 M-2 Volkhov-M (SA-N-2 Guideline)의 미사일
V-75520D사정거리 7–43 km; 발사 고도 3,000–30,000 m; 무게 2,360–2,396 kg; 길이 10,778 mm; 탄두 무게 196 kg
V-75520DP수동 비행 경로 발사 미사일, 사정거리 7–45 km (능동), 7–56 km (수동); 발사 고도 300–30,000 m / 300–35,000 m
V-75520DА보증 기간이 만료된 미사일을 20DS로 개조한 것
V-755OV20DO대기 샘플 채취용 미사일
V-755U20DS저고도( 200 m 이하) 표적 타격을 위한 선택적 블록이 있는 미사일; 발사 고도 100–30,000 m / 100–35,000 m
V-755U20DSU저고도( 200 m 이하) 표적 타격을 위한 선택적 블록과 발사 준비 시간 단축 기능이 있는 미사일; 발사 고도 100–30,000 m / 100–35,000 m
V-755U20DU발사 준비 시간 단축 기능이 있는 미사일
V-7595Ja23 (5V23)사정거리 6–56 km / 6–60 km / 6–66 km; 발사 고도 100–30,000 m / 100–35,000 m; 무게 2,406 kg; 길이 10,806 mm; 탄두 무게 197–201 kg
V-76015D핵탄두 장착 미사일
V-760V5V29핵탄두 장착 미사일
V-750IR-펄스 라디오퓨즈 장착 미사일
V-750N-시험 미사일
V-750P-회전 날개 실험 미사일
V-751KM비행 실험실 실험 미사일
V-752-측면 부스터 장착 실험 미사일
V-754-반능동 호밍 헤드 장착 실험 미사일
V-75717D램제트 엔진 장착 실험 미사일
-18D램제트 엔진 장착 실험 미사일[16]
V-757Kr3M102K11 크루그(SA-4 가네프)용 실험 미사일
V-758 (5 JaGG)22D3단계 미사일 실험 미사일; 무게 3,200 kg; 속도 4.8 M
코르순-표적 미사일
RM-75MV-저고도 표적 미사일
RM-75V-고고도 표적 미사일
시니차-235Ja23표적 미사일
카에르-1-후티 반군이 개발한 개조 지대지 탄도 미사일 버전


3. 4. 레이다

S-75 대대는 탐지거리가 275km인 P-12 조기 경보 레이다(나토 코드:''스푼 레스트'')를 사용한다. P-12 레이다는 다가오는 항공기의 정보를 SNR-75(나토 코드:''팬 송'') 사격통제 레이다에 넘겨준다. 65km의 추적거리를 가지는 이 레이다는 표적을 추적하고 미사일을 유도한다. SNR-75 레이다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작하는 두 개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고도 정보를 또 다른 하나는 방위각 정보를 다룬다.

S-75 연대의 본부에는 P-12 레이다 이외에도 P-15(나토 코드: ''플랫 페이스'') 장거리 C 밴드 레이다와 PRV-11(나토 코드: ''사이드 넷'') 고도 측정 레이다가 사용된다. 이 레이다에서 얻은 정보는 대대의 P-12 운용자에게 전달되어 유기적인 작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초기의 S-75는 P-8(나토 코드: ''나이프 레스트'') 조기경보 레이다를 사용하였지만 거의 교체되었다.

팬송 레이더(왼쪽)와 로우 블로우(오른쪽)

4. 주요 개량형

S-75는 신형 미사일, 레이다, 오퍼레이팅 콘솔 조합으로 개량되었다. 소련이 신형 S-75를 도입하면, 미사일의 더 넓어진 사거리와 고도에 맞춰 개선된 레이더와 함께 사용되었다.[17]


  • S-75 드비나(Двинаru, SA-2A): 드비나강에서 이름을 따왔다. 팬 송-A 유도 레이다와 V-750 혹은 V-750V 미사일을 사용한다. 1957년에 개발이 시작되었고, 미사일과 부스터의 길이는 10.6m, 부스터 직경은 0.65m, 미사일 직경은 0.5m, 발사 중량은 2,287kg이다. 최대 유효 사거리는 30km, 최소 사거리는 8km이며, 50m에서 25,000m 사이의 공간을 요격한다.
  • S-75M-2 볼호프-M(Волховru, SA-N-2A): 볼호프강에서 이름을 따왔다. 스베르들로프급 순양함 ''드제르진스키''에 장착된 해상형 버전이나, 일반적으로 비성공적으로 평가되어 다른 함에는 장착되지 않았다.
  • S-75 데스나(Деснаru, SA-2B): 데스나강에서 이름을 따왔다. 팬 송-B 레이다와 V-750VK, V-750VN 미사일로 구성되었으며, 1959년에 배치되었다. 부스터가 강화되어 미사일 길이가 10.8m로 길어졌고, 500m에서 30km 사이, 사거리 34km 이내의 표적과 교전할 수 있다.


V-750 미사일 수송 중

  • S-75M 볼호프(Волховru, SA-2C): 볼호프강에서 이름을 따왔다. 팬 송-C 레이다와 개량된 V-750M 미사일 조합 체계로, 1961년에 배치되었다. V-750M은 최대 사거리가 43km로 늘었고, 최소 고도는 400m로 줄었다.
  • SA-2D: 팬 송-E 레이다와 V-750SM 미사일 조합 체계이다. V-750SM은 신형 안테나와 기압계가 있어 구형과 큰 차이를 보인다. 미사일 길이는 10.8m, 직경은 S-75M과 동일하지만 무게는 2,450kg으로 늘었다. 유효 사거리는 43km, 최소 사거리는 6km, 교전 가능 고도는 250m에서 25,000m이다. 항공기의 ECM 능력에 대항해 레이다와 안테나를 개량하여 극심한 방해 상황에서도 운용 가능하다.
  • SA-2E: 팬 송-E 레이다와 V-750AK 미사일로 구성되었다. 로켓부는 D형과 유사하지만, 구근형 탄두부에 구형 미사일의 전방 날개가 없다. 길이는 11.2m, 몸체 직경은 0.5m, 발사시 무게는 2,450kg이다. 15kt 핵탄두나 295kg의 통상 HE 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
  • SA-2F: 팬 송-F 레이다와 V-750SM 미사일로 구성되었다. 6일 전쟁 등에서 재밍에 의해 S-75가 무용지물이 되자, 새로운 레이다 체계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유도 체계에는 재머를 탑재한 항공기를 공격하는 홈-온-잼 모드와 광학 체계(한정적 용도)를 포함한다. 1968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소련에서 배치되었고, 베트남에는 1970년 후반부터 선적되었다.
  • SA-2 FC: 중국의 최후기형으로, 6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하고 3개의 미사일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다.
  • S-75M 볼가(Волгаru, SA-2): 볼가강에서 이름을 따왔다. 1995년 개발형이다.


중국 선전의 민스크 월드에 전시된 HQ-2

  • HQ-1(红旗, 홍기): 중화민국 공군 흑묘중대의 U-2기에 장착된 System-12 ECM 장비에 대응하기 위한 ECCM 시스템을 추가한 중국형 S-75이다.[17]
  • HQ-2: U-2기에 장착된 System-13 ECM 장비에 대응하기 위해 개량된 HQ-1이다. SJ-202 수동 위상 배열 레이다를 사용하여 다중 목표와 동시 추적 및 교전이 가능하다. 무인표적기형은 BA-6이다.[17]


S-75 계열 미사일 제원 비교
형식전장(m)탄체 직경(m)부스터 직경(m)중량(kg)탄두유도사정거리사거리속도(M)
최소(km)최대(km)최소(m)최대(m)
V-750/750V (S-75)10.60.50.652,287HE 파편 (195kg)빔 라이딩8303,00022,0003.5
V-750VK/VN (S-75)10.80.50.652,287HE 파편 (195kg)빔 라이딩103450030,0004.0
V-750M (S-75M)10.80.50.652,287HE 파편 (195kg)빔 라이딩94340030,0004.0
V-750AK (S-75M)11.20.50.652,450HE 파편 (195kg)빔 라이딩74340030,0004.0
V-750SM (S-75M)10.80.50.652,450HE 파편 (295kg) / 15kt 핵탄두빔 라이딩74340030,0004.5


5. 사용 국가

S-75의 현재 운용국


2대의 S-75 발사대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중화인민공화국
  • 쿠바
  • 이집트
  • 이란

: 2023년 현재, 카자흐스탄 방공군이 S-75M 볼호프 12기 보유[38].

  • 키르기스스탄

: 2023년 현재, 키르기스스탄 공군이 S-75M3 6기 보유[39].

  • 북한
  • 파키스탄
  • 시리아
  • 타지키스탄
  • 예멘
  • 짐바브웨

5. 1. 현재 운용 국가


  • 아르메니아: 250 대
  • 쿠바
  • 이집트: 240 대, 파생형 Tayer el-Sabah
  • 이란: 최대 45 대의 발사대, 중국산 HQ-2J, 국산화한 Sayyad-1 보유. 2022년 기준 9기의 HQ-2를 보유하고 있다.[28]
  • 키르기스스탄: 약간, 2022년 기준 6기의 S-75M3 드비나를 보유하고 있다.[39]
  • 북한: 최대 270 대, 2022년 기준 179기 이상[28]
  • 파키스탄: 파키스탄 공군에서 HQ-2B 운용.[29]
  • 시리아: 275 대, 2022년 기준 36기 이상[28]
  • 타지키스탄: 약간
  • 예멘[30]
  • 아제르바이잔: 25기[28]
  • 카자흐스탄: 2023년 현재, 카자흐스탄 방공군이 S-75M 볼호프 12기 보유.[38]

5. 2. 이전 운용 국가

S-75 드비나는 과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소련은 1991년에 2,400개의 발사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후계 국가로 이전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은 1992년에 18개의 발사대를 보유했었다. 알바니아는 1992년 HQ-1 및 HQ-2 시스템을 포함하여 24개 발사대를 보유했었다.

동독, 헝가리, 인도, 이라크, 폴란드 등도 S-75를 운용했었다. 유고슬라비아는 1992년에 48개의 발사대를 보유했었고, 후계국가로 이전했지만 곧 퇴역하였다. 소말리아는 1991년에 42개의 발사대를 보유했었고 후계국가로 이전되었다.

6. 결론 및 평가

S-75는 냉전 시대에 개발되어 여러 전쟁에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실전 경험을 가진 SAM", "역사상 가장 많이 발사된 SAM"으로 불린다. 소련 방공군은 1980년대부터 S-75를 S-300 시스템으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35개국에서 운용 중이며, 2000년대에는 베트남과 이집트가 각각 280발, 북한은 270발을 보유하고 있다. 북한은 S-75를 개량하여 번개 5호를 개발했으며, 2016년 4월에 처음 공개했다. 번개 5호는 사거리가 150km로 S-75(45km)보다 3배 이상 길다. 2019년 9월, 조광무역회사는 번개 5호를 5100만 달러에 판매한다고 발표하여 대량 생산 가능성을 시사했다. 2020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일 열병식에서는 개량된 번개 5호 이동식발사차량(TEL)이 공개되었다.

북한의 군사 퍼레이드에 등장한 S-75(2013년)


중국은 S-75를 개량한 HQ-2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거리 150km의 단거리탄도미사일 DF-7(NATO 코드명: CSS-8)을 개발했다. S-75는 지대지 미사일로도 사용되었으며, 2015년 제2차 예멘 내전에서 후티가 사우디아라비아 공격에 사용했다. 군사 평론가 강하태는 북한의 대포동 1호 탄두 분리 시 사용하는 킥 모터에 S-75 부스터가 사용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Зенитная Ракетная Система С-75 (SA-2 Guideline) http://pvo.guns.ru/s[...] 2014-11-14
[2] 웹사이트 How a Chinese SA-2 shot down a Taiwanese RB-57D and scored the first ever SAM-Kill https://theaviationg[...] 2020-10-07
[3] harvnb
[4] 웹사이트 V-75 SA-2 Guideline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0-06-23
[5] 웹사이트 ROCAF U-2 Operations http://area51special[...] 2014-11-14
[6] 웹사이트 Cuban Missile Crisis http://www.af.mil/ne[...] United States Air Force 2010-08-10
[7] 간행물 Take It Down! The Wild Weasels in Vietnam https://www.airandsp[...] 2010-11-28
[8] 웹사이트 The S-75 Dvina - India's first Surface to Air Guided Weapon https://www.bharat-r[...] 2018-08-25
[9] 간행물 Georgia's Air Defense in the War with South Ossetia http://mdb.cast.ru/m[...] 2014-11-14
[10] 서적 Balkan Battlegrounds: A Military History of the Yugoslav Conflict, 1990-1995 https://books.google[...] Office of Russian and European Analysi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2-01-01
[11] 뉴스 Bosnia-Hercegovina: U.N. Pledges Support For Bangladeshis in Bihac https://www.ipsnews.[...] Inter Press Service 2020-04-05
[12] 웹사이트 Yemen modified S 75 missiles into unguided rockets, launched them into Saudi Arabia http://alert5.com/20[...] 2017-06-14
[13] 뉴스 Русская «Двина», сбив сотни «Фантомов», довела американцев до психоза https://svpressa.ru/[...] 2018-10-15
[14] 웹사이트 Operation Spring High: Thuds vs. SAMs https://www.historyn[...] 2019-02-01
[15] 학술지 Patterns and Predictability: The Soviet Evaluation of Operation Linebacker II 2007-01-01
[16] 웹사이트 18D http://www.astronaut[...] 2010-05-24
[17] 웹사이트 Корабе́льный ЗРК М-3. ЗУР В-800 (проект) http://pvo.guns.ru/n[...] 2018-07-12
[18] 웹사이트 神秘的中国远程防空导弹:红旗4导弹揭秘 http://military.chin[...] 2010-06-17
[19] 웹사이트 红旗-3号(HQ-3)地空导弹 http://www.zgjunshi.[...] 2013-05-23
[20] 뉴스 برای شکار جنگنده های دشمن هم صیاد داریم هم شاهین http://www.mashreghn[...] Mashregh News 2015-05-19
[21] 웹사이트 صیاد 2» زنجیره شکارچیان ایرانی را ک«مل کرد» http://www.mashreghn[...] Mashregh News 2015-05-19
[22] 웹사이트 罕见的国产M7导弹 http://military.chin[...] china.com 2014-11-14
[23] 웹사이트 M-7 / 8610 - China Nuclear Forces https://nuke.fas.org[...] 2023-08-26
[24] 웹사이트 Tondar 69 https://missilethrea[...]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23-08-26
[25] 뉴스 Yemen's New Qaher-I Missile Hits Saudi Air Bases in Asir Province http://en.farsnews.c[...] Fars News Agency 2015-12-13
[26] 학술지 Yemeni rebels enhance ballistic missile campaign http://www.janes.com[...] Janes Information Services 2017-12-19
[27] 웹사이트 Yemen's Houthi Missiles Keep Saudi Arabia Mired in Conflict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20-12-09
[28] 간행물 Ethiopia turns S-75 SAMs into self-propelled systems http://www.janes.com[...] 2016-05-04
[29] 서적 The Indian Air Force: A Balanced Strategic and Tactical Application Prabhat Prakashan
[30] harvnb
[31] 웹사이트 How a CIA operation in Indonesia turned the Vietnam War https://asiatimes.co[...] 2024-11-17
[32] 웹사이트 DJAKARTA SAM SITE B17-2 INDONESIA CIA FOIA (foia.cia.gov) https://www.cia.gov/[...] 2024-11-17
[33] 웹사이트 Fighting The Tide: The Islamic State’s Desperate Attempts to Combat Coalition Airpower https://www.oryxspio[...] 2024-08-19
[34] 웹사이트 The Missile Men of North Vietnam https://www.smithson[...] 2024-08-19
[35] harvnb
[36] 논문 2018
[37] 웹사이트 Tigray Defence Forces Display Surface-To-Air Missiles https://www.oryxspio[...] Oryx 2021-09-14
[38]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Routledge 2023-02-15
[39]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Routledge 2023-02-15
[40] 웹인용 Cuban Missile Crisis http://www.af.mil/ne[...] United States Air Force 2010-08-10
[4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irforce-[...] 2011-10-15
[42] 웹인용 Moscow Defense Brief http://mdb.cast.ru/m[...] 2010-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